본문 바로가기

회계기초

2. 기업의 재무 상태

자산(asset)

재산(財産) = 자기가 가지고 있는 금전적 가치가 있는 물건권리 = 자산(資産)

경영활동을 위해 현금, 앞으로 판매하기 위한 물건, 영업에 사용할 자동차, 건물, 공장, 기계 등

 

문제) 한국상사는 2012년 3월 1일 현재 현금 100만원, 판매하기 위한 상품 200만원, 건물 300만원의 자산을 가지고 있다. 이들 자산의 총액을 계산하라.


부채(liability)

기업의 자산은 자기의 자금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자금을 가지고 산 것이다.

기업의 자산 =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자금 + 자신이 조달한 자금

여기에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자금(빚, 채무)을 회계에서는 부채(負債)라고 한다.

다른 사람으로 빌린 돈으로서 앞으로 갚아야 할 것


자본(capital)

부채 이외에 조달한 자금 중 기업자신이 조달한 것

자산등식 : 자산 = 부채 + 자본

자본등식 : 자산 - 부채 = 자본

자본은 순재산


재무상태표

중세시대 상인들의 재산목록 작성 지침

  • 한 장의 백지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산을 차례차례 쓸 것
  • 재산정리를 다음날까지 계속하면 거래가 이루어져 재산이 변하므로 하루에 끝낼 것
  • 잃어버리기 쉬운 현금, 귀금속부터 먼저 쓸 것

중세시대에는 관리할 재산이 그렇게 많지 않았기 때문에 위의 지침대로 하나씩 재산을 정리할 수 있었을 것이다. 그러나 재산 항목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기업에서는 모든 재산을 하나씩 써서 정리한다면 한 장의 종이가 아니라 몇 백장의 종이로도 모자를 것이다. 따라서 기업의 재산을 나타낼때는 일정한 원리에 따라 보다 체계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.

 

재무상태표는 20XX년 3월 1일 현재 한국상사의 재산 상태를 나타내는 것
결국 기업이 일정시점에 가지고 있는 자산, 부채, 자본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그 금액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표

 

예를 들어 “어느 회사의 자산이 총 10억원이다”라고 하기 보다는 “자산 중 현금 얼마, 상품 얼마, 건물 얼마, 기계 얼마”라고 하는 것이 훨씬 그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줄 것이다. 회계는 기업의 언어이다. 따라서 회계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하는 용어의 뜻을 잘 이해해야 한다.

'회계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. 회계의 기본 원리  (0) 2021.01.27